업무 자동화 도구인 n8n을 셀프호스팅(Self-hosting)하고자 한다면, 가장 먼저 준비해야 할 것은 바로 안정적인 서버 환경입니다. 이 글에서는 n8n 셀프호스팅을 위한 서버 구축 방법을 클라우드와 로컬 환경으로 나누어 자세히 설명합니다. 각 환경의 장단점과 설정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해드립니다.
클라우드 서버로 n8n 셀프호스팅 시작하기
n8n을 호스팅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AWS, DigitalOcean, Google Cloud와 같은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한 환경을 쉽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버 생성 및 초기 설정
클라우드 서버 생성 과정은 플랫폼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다음 단계가 포함됩니다:
- 서버 위치(리전) 선택
- 운영 체제 선택 (리눅스 권장)
- CPU, RAM 등 사양 선택
- SSH 키 등록 및 관리자 계정 설정
예를 들어, AWS에서는 EC2 인스턴스를, DigitalOcean에서는 Droplet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양은 n8n의 사용 규모에 따라 조정해야 하며, 최소 사양은 1~2 vCPU, 2GB RAM을 추천합니다.
운영 체제 선택: Ubuntu가 가장 인기
n8n은 리눅스 환경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작동합니다. 특히 Ubuntu LTS 버전은 사용성과 커뮤니티 지원이 우수해 많은 사용자에게 선택받고 있습니다. 설치할 소프트웨어들도 대부분 리눅스 기반에서 쉽게 동작하므로 리눅스 선택이 유리합니다.
로컬 서버에서 n8n 실행하기
개인 PC나 사내 서버를 활용해 로컬 환경에서 n8n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특히 인터넷 연결이 제한적이거나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환경에서는 로컬 셀프호스팅이 더욱 적합할 수 있습니다.
로컬 서버 준비 및 OS 설치
로컬 서버에도 리눅스 배포판 설치가 기본입니다. Ubuntu 또는 Debian을 설치한 뒤, n8n 실행을 위한 필수 도구들을 설정해야 합니다:
- Docker 및 Docker Compose 설치
- Node.js 및 npm (비도커 방식 시)
-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설정
도커 기반 설치는 시스템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어 추천되는 방식입니다.
서버 자원 계획과 스케일링 전략
n8n의 성능은 실행 환경의 CPU, 메모리(RAM), 디스크 I/O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간단한 워크플로우만 운영할 경우에는 1 vCPU, 2GB RAM으로도 충분하지만, 대규모 데이터 처리나 API 연동이 많다면 4GB 이상의 RAM을 고려해야 합니다.
서버 성능 모니터링 및 확장
클라우드 서버의 장점 중 하나는 필요 시 자원 확장(스케일링)이 용이하다는 점입니다. 사용량이 증가하면 CPU와 메모리를 쉽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고, 디스크 용량도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모니터링 도구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Grafana + Prometheus
- htop, Netdata
n8n 서버 보안 설정 필수 가이드
서버가 외부에 연결되는 만큼, 보안 설정은 절대 소홀히 해서는 안 됩니다. 안전한 환경에서 n8n을 운영하기 위한 기본적인 보안 조치를 살펴보겠습니다.
방화벽 설정: 접근 제어 기본
리눅스 서버에서는 UFW(Uncomplicated Firewall)을 사용하여 필요한 포트만 개방하고 나머지는 차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SH(22), HTTP(80), HTTPS(443) 포트만 열어두고, 나머지 포트는 모두 막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HTTPS 설정으로 암호화 통신 구현
n8n에 브라우저로 접속하려면 SSL 인증서를 설치해 HTTPS 접속을 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Let’s Encrypt를 이용하면 손쉽게 인증서를 설치하고 자동 갱신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및 다음 단계 안내
이제 n8n을 실행할 서버 환경이 완성되었습니다. 클라우드 또는 로컬 중 자신의 환경에 맞는 서버를 구축했다면, 다음 단계는 n8n 설치 및 초기 구성입니다. 특히 도커 기반의 설치 방식은 설치가 간편하고 유지보수도 쉬우므로 초보자에게 추천됩니다.
다음 글에서는 n8n 도커 설치 방법과 기본 워크플로우 구성을 단계별로 소개할 예정입니다. 서버 준비가 완료된 지금, 본격적인 자동화 여정을 함께 시작해 보세요.